반응형
엑셀 스크롤락 켜고 끄는 방법 안내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원인 모를 이상한 작동이나 현상이 발생하여 당황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보통은 바이러스나 일시적인 이상 현상으로 생각하고 넘기기도 하죠.
엑셀에서도 이런 현상을 겪을 수 있는데요. 엑셀에서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한 이동이 되지 않는 엑셀 스크롤락 현상이 그것입니다. 오늘은 그와 관련한 내용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이게 어떤 현상인지 예시를 들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1부터 10이 적힌 셀이 있습니다.
1이 적힌 셀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 밑으로 내려서 5로 이동하려 합니다.
하지만 키보드 방향키를 밑으로 눌렀지만
커서가 이동하는 대신에, 화면이 스르륵 위로 올라가는데요.
이런 현상을 엑셀 스크롤락 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접하기 쉽지 않지만
어떤 이유로 인해서 스크롤락이 활성화되면서
이렇게 되어버리는데요.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엑셀 스크롤락 원인은 너무나도 간단한데
바로 키보드에 있는 스크롤락 키가 눌려서 그런 것입니다.
다른 키를 누를 때 같이 눌리던가 해서 아마 활성화된 경우가 많겠죠.
이 버튼을 다시 누르면 활성화된 것이 비활성화되어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구요.
다시 활성화시키고 싶으면 버튼을 누르면 되겠지요^^
지금까지 엑셀 스크롤락 설정 및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비가 오니 날씨가 추워질 것 같은데 다들 외출할 때 따시게 입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